※ 포스팅 하기 전 이제까지 겪은 IT 용어 업로드
※ 출처는 구글
.NET
미국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XML 웹 서 비스 플랫폼. XML 웹 서비스는 운영 체제, 장치 또는 프로 그래밍 언어에 관계 없이 인터넷을 통해 응용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통신하고 공유할 수 있게 해준다.
Aglie Methodologies
빠른 대화형 개발을 위한 설계 -구동의 방법론. 목적은 요구 증가의 발견과 최소화된 프로젝트 비용과 설계된 빠른 응용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위험감소이다.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소프트웨어의 특정 기능을 다른 프로그램에서 호출할 수 있도록 규칙들을 명시한 집합. 예를 들어 윈도우즈 운영체제에는 C++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윈도우 생성, 파일 오픈 등의 기능을 개발할 수 있도록 1,000 여 개 이상의 API 함수를 제공한다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컴퓨터에 수록한 수많은 자료들을 쉽고 빠르게 추가∙수정∙삭제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 내의 정보를 검색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저장하기 편리하고 효율적인 환경을 제공하며, 응용소프트웨어 별로 흩어져 있는 자료들을 통합하고, 통합된 자료들을 각 응용소프트웨어가 공유하여 정보의 체계적인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Framework
다양한 분야의 관리 툴을 하나로 통합할 수 있는 일종의 플랫폼. 객체지향형 시스템에서 말하는 프레임워크란, 서로 관련이 있는 많은 수의 문제를 풀기 위한 추상적 설계를 구체화한 클래스 집합을 말한다. 프레임워크는 최초의 PC용 통합 소프트웨어 패키지 중 하나로서, 프로그래밍 언어도 포함되어 있다. 후에 볼랜드에 합병된 Ashton-Tate에서개발되었다.
Java
인터넷 환경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프로그램 언어. 자바언어는 어떠한 장치, 어떠한 OS에서든 JVM(Java Virtual Machine)프로그램이 설치된 환경이라면 실행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JVM (Java Virtual Machine)
byte code로 컴파일된 코드를 실행시켜주는 응용프로그램. 자바 바이트코드와 컴퓨터의 운영 시스템 간에 번역기 역할을 한다. JVM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매킨토시, 윈도우 95, 유닉스 등 어떤 많은 다른 컴퓨터 플랫폼에서도 자바를 실행 시킬 수 있다.
OLAP (On-Line Analytical Processing)
데이터의 분석과 관리의 목적을 위해서 다양한 데이터를 모으고, 관리하고, 표현하기 위 한 응용프로그램 및 기술. 즉, 최종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쉽게 접근하여 필요로 하는 정보를 직접 작성하고 의사 결정에 활용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Open Source Software
소스코드가 무료로 배포되어 사용자가 자유롭게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리눅스가 대표적이다.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는 저작권을 침해 받지 않도록 소스코드를 배포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나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는 라이센스 요금이 없으면서 유지 보수의 책임도 사용자에게 넘긴다는 의미로 소스코드를 함께 제공한다.
Repository
데이터베이스와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엄밀하게 말하면 데이터베이스 응용분야의 하나. 주로 기업 내 분산돼 있는 각종 문서와 정보 들을 단일 저장소에서 관리해 주는 기술을 의미하며, 요소자료∙입출력내용∙처리방법∙ 자료의 내부 관계 등과 같이 응용업무 개발에 사용된 시스템의 각종 부품을 모아 놓은 정보의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한다.
SOA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CBD(Component Based Development)의 발전된 모습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데이터 중심이 아닌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구성하는 아키텍처. 인터페이스의 표준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웹서비스 적용할 때 기본적으로 사용된다.
SOAP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웹 서비스를 구성하는 표준 중 하나로, 웹 서비스간 데이터를 주고 받는 규칙을 정한 프로토콜.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조작과 관리에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 하부 언어(sublanguage)로 구조화 질의어. 데이터 정의어(DDL)와 데이터 조작어(DML) 를 포함한 데이터베이스용 질의언어(Query Language)의 일종으로 특정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아 널리 사용된다.
UML (Unified Modeling Language)
소프트웨어 개발의 분석, 설계 내용을 기록하는 표준 언어. 분석, 설계 내용을 일정한 도형으로 기록하는 것을 모델링이라고 하는데, UML은 이러한 모델링 언어 중 하나이다. 분석, 설계 단계를 세분화한 여러 개의 다이어그램으로 이루어 져 있으며, 각 다이어그램별로 사용할 수 있는 도형과, 각 도형의 의미가 정의 되어있다.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인터넷 웹을 구성하는 HTML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차세대 인터넷 언어. 기존 인터넷에서 사용하던 HTML의 한계를 극복하여, 사용자가 새로운 태그(tag)를 정의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어떤 플랫폼 에서나 읽을 수 있는 포맷을 제공하기 때문에 특정 회사의 제품과 관련된 특정 환경에 얽매 이지 않게 된다.